미 국방부, 자율 살상 로봇 개발 가속화

미 국방부, “자율 살상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하다

최근 미 국방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을 통해, 펜타곤이 자율 살상 로봇(autonomous killer robots) 개발에 대한 관심을 가속화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펜타곤이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연구 자금 지원에서 벗어나 실제 AI 기반 무기 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인공지능”이 아닌 “자율 살상 로봇”에 투자

이 관계자는 “우리는 ‘인공지능’에 투자하지 않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기 때문입니다.”라며, “우리는 자율 살상 로봇에 투자할 것입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현 정부는 ‘기술’이 아닌 무기 시스템과 비즈니스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습니다.

민간 부문과의 협력 강화

자금 조달 방식에도 변화가 있을 예정입니다. 또 다른 익명의 국방부 관계자는 비용 부담을 민간 부문으로 이전하는 방식으로 전환될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기존에는 정부가 연구 개발 비용 대부분을 부담했지만, 앞으로는 정부가 소액을 투자하고 기업이 대부분의 비용을 부담하는 방식으로 프로토타입 개발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국방부는 “가장 치명적이고 진보된 기술과 능력을 우리 군인들에게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구조를 검토하여 최대한의 효과와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방부가 자율 살상 로봇을 최대한 빨리 확보하기 위해 조달 과정을 간소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새로운 조직 신설

이러한 새로운 조달 과정은 국방부 내 다른 연구 개발 부서에서 인력을 차출하여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의 상업-엔지니어링 버전”으로 특징지어지는 새로운 조직에 의해 감독될 예정입니다.

트럼프 행정부의 지원과 바이든 행정부의 토대

트럼프 행정부가 국방부가 살상 로봇으로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준 것은 분명하지만, 이러한 결정에 대한 길을 닦은 것은 조 바이든 행정부입니다. 2023년, 펜타곤은 인공지능을 수용하기 위해 10년 된 지침을 업데이트하고, 고위 관리자들의 서명만으로 개발 및 배치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이는 자율 살상 무기를 전면 금지하려는 유엔의 노력에 반하는 행보입니다.

충성심에 집착하는 대통령이 모든 연방 기관의 수장에 자신의 측근들을 앉히고 있는 상황에서, 고위직에 채용된 사람들이 고위층의 결정에 발맞춰 움직일 것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따라서 앞으로 4년 안에 미군이 살상 로봇을 주문하고 배치하는 것을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