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리플렉스: 시스템 지연 시간 감소 및 활성화 방법

엔비디아 리플렉스(Nvidia Reflex) : 무엇이고 왜 활성화해야 할까요?

게이밍에서 승리는 누가 먼저 방아쇠를 당기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종종 누구의 PC가 가장 빠르게 반응하느냐에 달려있어요. 입력 지연(input lag)을 파악하는 것이 이를 제거하는 첫걸음인데, 엔비디아 리플렉스(Nvidia Reflex)는 아주 훌륭한 도구입니다. 어떤 게임에서는 단순히 지연 시간을 측정하는 것을 넘어, 적극적으로 지연 시간을 줄여주기도 하거든요.

좋은 그래픽 카드와 고주사율 모니터가 있다면, 경쟁적인 게임 플레이에 더 적합하도록 PC를 만드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입력 지연 시간을 몇 밀리초라도 줄이는 것이겠죠. 엔비디아 리플렉스를 사용해서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는지 알려드릴게요. 어쩌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도 있을 거예요!

엔비디아 리플렉스란 무엇일까요?

엔비디아 리플렉스는 시스템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GPU, 지싱크(G-Sync)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모음입니다. 이를 통해 PC와 디스플레이가 마우스 및 키보드 입력에 더 빠르게 반응할 수 있게 되어, 적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조준하고 처치할 수 있게 되는 거죠.

리플렉스 저지연 모드(Reflex Low Latency mode)처럼, 리플렉스는 엔비디아 그래픽 카드가 필요한 독점 기술입니다. RTX 40 시리즈와 같은 최신 GPU를 사용하면 최고의 경험을 보장하지만, 리플렉스는 GTX 900 이상을 포함한 모든 모델에서 작동할 수 있어요. GPU와 게임을 최적화하여 낮은 지연 시간으로 최고의 성능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특정 게임에서는 GPU 클럭 속도를 높여주는 리플렉스+부스트(Reflex+Boost) 설정도 제공하는데요, 특히 CPU 사용량이 많은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 잠재적인 병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리플렉스는 어떻게 작동할까요?

리플렉스는 렌더링 지연 시간을 최대 80%까지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에이펙스 레전드(Apex Legends), 발로란트(Valorant), 콜 오브 듀티(Call of Duty), 포트나이트(Fortnite) 등과 같은 1인칭 슈팅 게임에서 가장 효과적입니다.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지만, 평균 프레임 속도에 약간의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었어요. 하지만 입력 지연 감소로 인한 향상된 반응성은 특히 경쟁적으로 게임을 하는 경우라면 충분히 가치가 있을 겁니다.

시스템 지연 시간을 최적화하고 줄이기 위해 리플렉스는 SDK와 드라이버 최적화를 결합하여 CPU와 GPU 사이의 병목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CPU가 전달하는 즉시 GPU에서 각 프레임을 렌더링할 수 있으며, 기존 렌더링 작업 뒤에서 기다릴 필요가 없어요. 그 결과 입력 지연이 크게 줄어들 수 있습니다. 어떤 하드웨어와 주변 장치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시스템 지연 시간을 수십 밀리초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게임 플레이 성능에 실질적이고 눈에 띄는 영향을 줄 수 있죠.

게임 개발자가 추가 최적화를 통해 게임 지연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리플렉스에는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게임 개발자가 렌더링 지연 시간을 줄이고 측정하기 위한 API 세트인 리플렉스 SDK입니다. 개발자는 SDK를 사용하여 리플렉스를 게임에 직접 통합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의 초저지연 모드(Ultra Low Latency Mode)와 같은 기존 드라이버 전용 기술을 뛰어넘는 지연 시간 감소가 가능합니다.

두 번째는 리플렉스 지연 시간 분석기(Reflex Latency Analyzer)인데,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시스템 지연 시간 측정 도구입니다. 현재 에이서(Acer), 에일리언웨어(Alienware), 에이수스(Asus), MSI의 360Hz 지싱크 e스포츠 디스플레이와 에이수스, 로지텍(Logitech), 레이저(Razer), 스틸시리즈(SteelSeries)의 e스포츠 주변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은 마우스에서 발생하는 클릭을 감지한 다음 화면에서 결과 픽셀이 변경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리플렉스를 활성화하는 방법

엔비디아 리플렉스는 게임 그래픽 설정에서 개별 게임별로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각 게임마다 다르기 때문에 찾아봐야 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옵션 또는 게임 설정 메뉴에 있을 거예요.

에이펙스 레전드(Apex Legends)를 예로 들어볼게요.

게임을 열고 오른쪽 하단의 옵션(톱니바퀴 기호) 버튼을 선택한 다음 설정을 클릭하세요.

다음으로 상단의 비디오 설정을 선택하고 고급에서 엔비디아 리플렉스를 활성화하는 옵션을 볼 수 있습니다.

일부 게임에는 엔비디아 리플렉스+부스트(Nvidia Reflex+Boost)라는 별도의 옵션도 있습니다. 이를 활성화하면 GPU 성능을 향상시켜 지연 시간을 더욱 줄일 수 있습니다.

어떤 게임이 엔비디아 리플렉스를 지원할까요?

엔비디아 리플렉스를 어떤 형태로든 지원하는 게임 목록은 꽤 길어요. 일부 게임은 지연 시간 통계만 제공하고, 다른 게임은 자동 구성된 리플렉스 분석기를 지원하며, 또 다른 게임은 리플렉스 저지연을 지원합니다. 에이펙스 레전드(Apex Legends), 배틀필드 2042(Battlefield 2042), 발로란트(Valorant), 호그와트 레거시(Hogwarts Legacy), 카운터 스트라이크 2(Counter-Strike 2) 등이 대표적입니다.

더 많은 게임이 계속 추가되고 있으니, 최신 릴리스 및 지원되는 주변 장치를 포함한 전체 목록을 확인해 보세요.

엔비디아 리플렉스 2

올해 CES에서 엔비디아는 새로운 RTX 50 시리즈 그래픽 카드 라인업을 공개했습니다. 이와 함께 회사는 지연 시간 감소 기술의 차세대 업그레이드인 리플렉스 2를 발표했습니다. 오리지널 엔비디아 리플렉스의 성공을 바탕으로 리플렉스 2는 시스템 지연 시간을 최대 75%까지 더욱 줄여 게임을 더욱 반응성이 좋고 몰입감 있게 만들 수 있는 발전을 도입할 예정입니다. 프레임 보간(Frame Interpolation) 및 확장된 하드웨어 지원을 통해 리플렉스 2는 경쟁적인 게임 플레이와 더 넓은 범위의 장치에서 일반적인 게임 경험을 모두 향상시킬 것이라고 합니다.

리플렉스 2의 가장 중요한 새로운 기능 중 하나는 “프레임 워프(Frame Warp)”라고도 하는 프레임 보간입니다. 이 기술은 실시간으로 렌더링된 프레임을 분석하고 추가 보간된 프레임을 삽입하여 인지된 지연 시간을 줄입니다. 플레이어 입력을 예측하고 조정함으로써 프레임 보간은 그래픽 집약적인 시나리오에서도 더 부드럽고 반응성이 뛰어난 게임 경험을 만들어낸다고 합니다. 이는 중급 또는 구형 하드웨어를 사용하는 게이머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는데, 시각적 품질이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지연 시간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리플렉스 2는 또한 리플렉스 지연 시간 분석기에 대한 호환성이 향상되어 더 많은 게임 모니터와 주변 장치로 범위를 확장합니다. 이 확장된 하드웨어 생태계를 통해 게이머는 지연 시간을 정밀하게 측정하고 최적화하여 가능한 가장 반응성이 뛰어난 경험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발표 중에 엔비디아는 게임 개발자와 협력하여 1인칭 슈팅 게임, MOBA, 배틀 로얄과 같은 인기 장르에서 널리 채택되도록 리플렉스 2 지원을 늘려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엔비디아는 더 파이널스(The Finals)와 발로란트(Valorant)에서 리플렉스 2를 처음으로 선보일 예정이며, RTX 50 시리즈 GPU에서 먼저 출시될 예정입니다. 다른 구형 RTX GPU에 대한 지원은 향후 업데이트에서 제공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위로 스크롤